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폴란드] 주간 경제 동향('25.01.27.~02.03.)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2-07
조회수
297

(정보제공 : 주폴란드대사관)



폴란드 주간 경제 동향('25.01.27.~02.03.)




가. 원자력 발전소 건설 사업


1) 전략적에너지인프라전권대표· EDF 사장 면담


  ㅇ 1.29(수) 산업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1.24(금) 브로흐나(W. Wrochna) 산업부 차관 겸 전략적에너지인프라전권대표가 레몽(L. Remont) 프랑스전력공사(EDF) 사장과 폴란드 원전 건설 사업에 대해 면담하였다고 발표함.


2) PGE 사장, 베우하투프를 원전 건설 부지로 추천


  ㅇ 1.30(목) 마제츠(D. Marzec) PGE 사장은 정부 측에 다음 원자력 발전소 건설 부지로 베우하투프 지역을 권고할 것이라 발언함.


3) 가스 대신 원자력이 필요


  ㅇ Der Welt는 EU순회의장국 수임 이후 폴란드가 EU 회원국 경제·재무 담당 장관에게 러시아산 가스 의존을 줄이고, 에너지 가격을 인하시키기 위해 원자력 발전을 이용해야 한다는 서한*을 발송하였다고 보도함.


     * 동 서한에 따르면 투스크(D. Tusk) 폴란드 총리는 전통적인 원자력 발전이 에너지 발전에 중요하며 유럽의 전략에 포함되어야 하고, 수익성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가 유럽의 경쟁력에 매우 중요하다라고 적시함.


4) 폴-캐나다 원자력 협력 계약 체결


  ㅇ 1.27일 투스크(D. Tusk) 총리는 폴란드를 방문한 트뤼도(J. Trudeau) 캐나다 총리와 원자력 분야 협력 협약(Agreement on Cooperation in the Area of Nuclear Energy)*을 체결함.


     *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연구, 원자력 안전, 핵물질 이용, 공동 프로젝트 도입 등과 관련된 기술 제공에 대한 내용 및 기술 훈련, 전문가 교류 등의 내용을 포함


   - 투스크 총리는 폴란드의 첫 번째 원전을 건설하는 웨스팅하우스가 캐나다 기업임을 고려할 때 금번 협력이 전략적이라 평가


   - 트뤼도 총리는 금번 협정이 양국에게 도움이 되며, 원자력을 통해 폴란드는 더 깨끗한 에너지를 확보하고 對 러시아 에너지 의존을 낮출 수 있다고 발언


5) 정부 발주 원전 건설 사업 동향


  ㅇ (브릿지 계약 체결) PEJ-웨스팅하우스 및 벡텔 컨소시엄의 설계 계약은 금년 3월 만료될 예정으로, 4주 이내에 브릿지 계약(bridge contract)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보이며 양측 모두 브릿지 계약 체결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함.


   - 단, 쟁점은 품질에 관한 책임 범위, 계약 비용 통제, 일정 관리에 대한 의견 불일치로, 폴란드는 발주사(PEJ)에 유리한 계약이 체결해야 한다는 입장


  ㅇ (EPC 계약 체결) EPC 계약에 국가 보조금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바, EU 집행위의 호체보 원전 건설 사업에 대한 국가 보조금이 승인된 이후 EPC 계약이 체결될 것임.


  ㅇ (PEJ 경영진 동향) 유흐니에비치(L. Juchniewicz) PEJ 사장은 PEJ 감독이사회로 자리를 옮길 수 있으나, 이는 브릿지 계약 체결 이후 진행될 것임.


나. Baltica 2 해상풍력발전소* 건설


  ㅇ 1.30일 투스크(D. Tusk) 총리는 폴란드의 에너지 안보 강화, 저렴한 에너지 공급 등을 위해 Baltica 2 해상풍력발전소 건설 사업을 시작한다고 발표하며, 2027년부터 Baltica 2 풍력 발전소가 가동되어 최대 250만 가구에 친환경 에너지를 공급할 것이라 함.


     * (개요)

       - 참여사 : 폴란드 PGE社, 덴마크 Orsted社

       - 위치 : 우스트카(Ustka) 및 호체보(Choczewo) 지역 사이, 폴란드 해안에서 약 40 km 떨어진 지역

       - 면적 : 190 km2

       - 발전 용량 : 1.5 GW(14 MW 풍력 터빈 107개 설치 예정)

       - 건설비 : 300억 PLN(그 중 PGE가 150억 PLN, KPO 기금 60억 PLN)


   - 또한 투스크 총리는 폴란드가 2040년까지 해상 풍력 발전을 통해 18GW의 전력을 생산할 것이며, 이는 원전 4개의 규모라고 설명


다. 정부, 에너지 집약적 기업 지원에 난항


  ㅇ 폴란드 산업계는 높은 에너지 비용과 에너지 소비로 인해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나, 아래와 같은 이유로 난항이 발생하고 있음.


     * 산업계는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에너지믹스 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50% 이상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나, 신재생에너지의 특성상 월별 발전 비율의 차이가 큼.

       - 2024년 6월 전력 발전 비율 : 석탄 59.9%, 신재생에너지 31.5%, 가스 및 기타 화석 연료 8.7%


       - 2024년 12월 전력 발전 비율 : 석탄 61.3%, 신재생에너지 23.5%, 가스 및 기타 화석 연료 15.3%


   - (정부의 에너지 전환 지연) 신재생에너지원 개발이 지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석탄 화력 발전을 대체할 에너지원에 대한 대안이 부재


     * 육상 풍력 발전소 건설 거리 완화 법안이 통과되지 못하고 있음.


   - (공공 지원의 한계) 정부는 에너지 집약적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하였으나, 여러 제약*으로 인해 실질적인 도움이 미비**


     * 예시 : 2023년에는 에너지 가격이 2021년 가격의 150%를 초과하는 기업만 정부의 지원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었음.

    ** 2024년 상반기 10억 PLN 예산이 배정되었으나, 실제로 지급된 금액은 3억 6천만 PLN에 불과


   - (부처 간 비효율적인 업무 분장) 산업 관련 업무가 여러 부처로 분산*된바, 업무 간 업무 조정에 난항


     * △경제개발기술부 : 전반적인 산업 지원, △기후환경부 : 에너지 관련 업무 담당, △산업부 : 광업 및 금속공업 담당


라. EU 기금


1) 폴란드, KPO 기금 900억 PLN 수령


  ㅇ 1.24일 세라핀(P. Serafin) EU 예산?반부패?공공행정 담당 집행위원은 폴란드가 국가재건계획(KPO) 기금으로 900억 PLN(213억 5천만 유로)을 수령하였다라고 언급하였으며, 곧 EU가 새로운 다년 재정 프레임워크(MMF) 초안을 발표할 것이라 함.


2) 국무회의, KPO 개정 승인


  ㅇ 1.30일 페우친스카나웽치(K. Pelczynska-Nalecz) 기금지역정책부 장관은 국무회의에서 국가재건계획(KPO)의 2차 개정*을 승인하였으며, EU 집행위와의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 함.


     * 국가노동감독청의 역할 강화, 위임걔약에 대한 의무 기여금 폐지, 에너지 지원 기금에 추가적으로 10억 PLN(2억 3,700만 유로) 배정 등


마. 재무부 장관, 다보스 포럼 참석


  ㅇ 1.22-23일 다보스 포럼에 참석한 도만스키(A. Domanski) 재무부 장관은 3개의 주제 토론에 참석하여 △자본 시장 연합, △유럽 경제의 경쟁력 강화, △에너지 비용 절감 및 EU 규제 간소화, △기업의 행정적 부담 완화,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대해 논의함.


   - 또한 도만스키 장관은 남아공, 인니 및 태국 정부 관계자, 글로벌 기업 대표들과의 양자 회담도 진행


바. 경제전망


1) 러-우 전쟁 이후 폴-우 무역 급증


  ㅇ 폴란드경제연구소(PIE)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의 교역, 특히 폴란드의 對 우크라이나 수출*이 급증하였다고 함.


     * 연도 별 수출액은 2021년 63억 유로, 2022년 97억 유로, 2023년 114억 유로, 2024년 1-3분기 94억 유로이며, 주요 수출 품목은 △광물 연료 및 석유 제품, △차량 및 부품, △무기 및 탄약, △전자 및 기계 장치, △전자 기기 등이 있음.


   - PIE는 폴-우크라이나 양국 무역 관계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가 EU로 통합될 시 폴란드 경제는 무역 관계에서 더 큰 혜택을 얻을 것으로 전망


2) 2024년 12월 실업률


  ㅇ 1.27일 통계청(GUS)은 12월 실업률을 5.1%, 실업자 수는 약 78만 6,200명으로 발표함.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